블록체인 기술은 가상 화폐, 해외 송금과 같은 금융 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와 기업에서 POC(Proof Of Concept : 개념증명, IT용어 사전 참고)를 통해 뢍용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면 시스템 유지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인식이 있는데, 이것은 잘못된 인식이라고 볼 수 있다. 블록체인의 혁신은 시스템 유지 비용 감축이 아닌 사업 계획에 있다. 


BTC라는 가상 통화의 에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가치를 통해 비용을 충당함으로써, 이용자의 부담을 최소화시킨 사업 계획에 혁신성이 있는 것이다. 게다가 누군가가 중심에 서거나 총괄하는 주체 없이 이익을 추구하고 경쟁하는 채굴업자의 자발적인 호라동을 통해 사업이 달성되고 있다는 것에서 큰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미국에서 Mosaic와 Netscape Navigator의 개발자인 마크 앤드리슨은 "블록체인은 정보 처리 분야에서 오랜 세월 우리를 괴롭혀온 비잔티움 장군 문제 (비잔티움 장애 허용, IT용어 사전 참고)를 해결한 혁신적인 기술이다."라고 말하였다.


이러한 발언등을 통해, 2015년 상반기 부터는 비트코인이라는 가상 통화에 주목했지만, 2015년 하반기부터는 블록체인의 핵심 기술인 '분산 원장' 이라는 키워드가 주목 받기 시작했다. 세계 유수의 IT업체인 IBM이 Linux Foundation 에서 주도해 진행하고 있는 Hyperledger Project는 명확하게 분산 원장 기술의 확립을 목표로 하며, 비트코인이 아닌 블록체인 그 자체를 검토하고 있다.


시스템 개발 기술로서의 블록체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시스템 개발에 따른 집중화와 분산화의 역사는 꽤 오래 되었다. 메인 프레임의 중앙 집중형 시스템에서 다운사이징을 통해 1990 년대에 클라이언트 서버형  시스템이 구축되면서 다시 분산화로 바뀌었고, 그 후 인터넷의 발달로 웹 서버와 씬 클라이언트(Thin Client)가 나오면서 다시 중앙 집중형으로 시스템이 구축되던 중, 웹 2.0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AJAX(Asynchronous JavaScript + XML)로 인해 다시 분산화가 진행됬다. 하지만 최근엔 클라우드 컴퓨팅이 발달하면서 다시 중앙 집중화가 시작되었고, 신기술은 블록체인은 다시 탈중화 개념을 통해 분산형 시스템으로 힘을 실고 있다.


블록체인이 가지는 궁극적인 의미는 '분산 원장'을 통해 각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범용성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즉 각 시스템이 개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던 원장 데이터를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네트워크로 공유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서, 그 어떠한 해커라도 함부로 블록체인의 장부(Ledger)를 함부로 조작, 변경이 불가능하다.


분산 네트워크에 공유된 정보가 달라지게 될 경우, 수 많은 노드들이 합의 수렴 알고리즘을 통해, 옳은 값으로 다시 수정하기 때문인데, 이를 완벽히 조작하기 위해서는 분산네트워크의 노드 51% 이상을 점거해야만 한다. 잘 형성된 블록체인 생태계가 존재하는 블록체인이라면, 모든 노드의 51%이상을 점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해킹이 불가능한 꿈의 기술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블로그 이미지

Hyunsoo Luke HA

각종 IT에 필요한 온갖 지식을 키워드별로 정리하여 백과를 써내려가보자 합니다.

,